
기초실태조사란?
사업목적
- 농촌융복합산업의 기능별 구조ㆍ정주여건에 따른 생산기반 등 현황 파악을 통해 매출액ㆍ일자리 등 관련지표의
상관관계를 분석하고, 농촌융복합산업활성화 연구 및 정책수립 자료로 활용
사업기간
- 2019년 1월 ∼ 12월까지 ※2년주기 시행
사업추진 방식
- 조사ㆍ분석전문기관(1개소) 및 지원센터(9개소, 인천ㆍ세종 제외) 위탁수행
추진방향
- 농림어업총조사ㆍ농업법인조사ㆍ기초자원현황조사의모집단(약 44,000개)을 기준으로 비례할당법에 따라
약 4,000여개의 표본지정 및 조사항목 설정*을 통한 대면ㆍ온라인ㆍ우편 등 병행 실시
* 내ㆍ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기초통계 전문위원회를 운영, 신뢰수준 및 오차범위를 고려한 경영체 표본추출, 설문조사
항목설정, 통계관리 등 주요사항 심의
항목설정, 통계관리 등 주요사항 심의
세부추진계획
- 1 기초자원 현황조사 : 경영체 기초 현황
-
자료수집
- 시ㆍ도 농촌융복합산업 지원센터 : 농촌융복합산업 인증사업자
- 농촌진흥청 : 농촌교육농장, 농가맛집
-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: 찾아가는 양조장
-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: 스타팜
- 시ㆍ군 농정부서 및 농업기술센터 : 관할 시ㆍ군 농업인, 농업법인, 회사법인, 조합법인, 기타법인의
① 식품 및 가공품 제조업, ② 직매장, ③ 농촌체험휴양마을, ④ 관광농원, ⑤ 농업테마공원,
⑥ 농촌형 승마장, ⑦ 낙농체험목장
- 2 모집단 및 표본크기
-
모집단 산정 : 농림어업총조사 + 농업법인조사 + 기초자원현황조사(행정조사)
- `16년 기준 : 44,207개 추정 (통계청 자료 및 행정조사에 따라 변동)
- 3 조사대상
-
경영체를 법인설립 기준으로 정립이 되지 못하여 설립기준, 기업형태로 나누어 구분
- 4 조사항목 및 내용
-
기본정보 : 관리코드, 상호명, 소재지, 경영주 인적
경영정보 : 경영체유형, 법적인증, 고용인력, 경영현황 수출현황, 운영일수, 이용객수
운영관리 : 사업운영형태
정책관련 : 정책지원 활용여부, 내용, 지원시기, 도움정도, 컨설팅여부, 소속, 도움정도, 불만족사유 등
※ 항목의 성격 및 항목 간 연계성, 관계성, 재무적·비재무적 항목 등을 고려한 계층화 및 구조화로
지역, 조직형태, 사업유형 등에 대한 상호비교분석이 가능토록 설계
※ 기본정보와 경영정보를 기준으로 운영 및 관리, 정책관련 항목을 상호 교차분석과 비교분석이
가능토록 설계함으로서 정책 기초자료로 활용가치 제고
- 5 사업 유형
①농축산업, ②가공식품, ③직매장, ④체험관광, ⑤농가식당을 세부화하여 사업유형간의 성과측정 등이
가능하도록 설계